이 부분은 일반 대중들이 관심을 안 가져도 될 내용일 수도 있다


컴퓨터 자판에서 직업적으로 많은 분량의 타자를 빠른 속도로 치지 않는 이상 두벌식에서는 연타나 조합타를 무시하고 그대로 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두벌식에서는 연타가 타자의 음절 조합 리듬을 깨지 않아서 손가락 피로에의 부담이 적고 왼손 조합타의 경우에도 왼손에서 초성, 종성으로 이어질 때 중간에 오른손의 모음을 한 번 거치기 때문에 연타는 아니면서 어지간한 속도에서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타자 량이 많아지고 속도가 빨라지면 문제는 틀려진다. 두벌식의 연타가 음절 조합의 리듬을 깨지는 않지만 그래도 같은 손가락을 연속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가 빨라지고 누적 횟수가 많아지면 피로가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조합타의 경우에도 속도가 빨라지면 왼손에서 초성, 종성으로 이어지는 것이 연타에 버금가는 손가락 부담을 주게 되면서 음절 조합 리듬도 깨게 된다. 이 경우에는 가능한 한 연타와 조합타를 피하는 것이 좋고 이를 위해서는 손가락의 지정을 바꾸는 타법 상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물론 자판의 설계에서 가능하면 연타나 조합타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자모 배열을 했으므로 남아 있는 연타나 조합타가 대량으로 많지는 않다. 그렇지만 다량의 문서를 빠른 속도로 칠 때에는 횟수가 누적되어 피로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 조합을 달리하여 이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두벌식에서 대부분의 연타나 조합타가 왼손의 검지에서 발생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민두벌식에서는 검지에 배당된 키가 7개로 가장 많고 또한 검지의 힘과 순발력이 좋기 때문에 빈도수가 높은 자모가 대부분 검지에 배치되어 있어 이곳에서 연타나 조합타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주목하여야 할 부분이 있다. 이 배치되어 있는 r키와 이 배치되어 있는 c키이다. r키와 c키는 민두벌식에서 검지로 치는 것으로 손가락 배정이 되어 있지만 왼쪽 자판의 구조와 손가락의 조합에서 전혀 불편함이 없이 중지로도 칠 수가 있다.

 

실제 민두벌식에서는 r()로 인한 연타와 조합타가 가장 많이 일어난다. 그 다음이 c()이다. 이는 자음 빈도와 키입력 수월성의 순위에 따라 자음을 배치하기도 하지만 초기에 자판을 설계할 때 의도적으로 r키에, c키에 배치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에 검지가 배정되어 있지만 연결되는 자음이 ,,,,,일 때에는 을 중지로 치게 되면 대부분의 연타나 조합타를 막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민두벌식의 경우에는 연타의 58%, 조합타의 61%를 제거할 수 있다. 연타나 조합타의 빈도수가 보다는 훨씬 적지만 에도 검지가 배정되어 있는데 연결되는 자음이 ,,,,일 때에는 을 중지로 치게 되면 이 경우에도 연타나 조합타를 상당량 막을 수가 있다. 민두벌식의 경우 연타의 8%, 조합타의 2%를 막을 수가 있다.


그림 8. 민두벌식에서 손가락 배정의 유연성을 가진 키(r,c,x,z)

 

 

연타나 조합타를 칠 때에도 키간의 거리가 가까우면 두벌식에서는 거의 부담이 없다. 민두벌식에서 키간 거리가 먼 -,,,, -,,, -, -간의 연타나 조합타는 손가락 전환 타법을 활용하여 가급적 제거하는 것이 좋다. x키는 중지나 약지로 칠 수가 있고, z키는 약지나 소지로도 칠 수 있음을 활용하면 위에 언급한 긴 이동 거리의 연타나 조합타를 대부분 제거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당연히 r키이고 두벌식 연타나 조합타의 60% 정도를 제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타법에 해당한다.

 

타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약하기로 하고 그 결론만 간단히 적기로 하자.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피로를 줄이면서 자연스러운 손가락 조합을 가져갈 수 있는 타법 상의 기본 원칙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ㄱ(r)을 타자할 때는 검지를 사용한다. 의 검지 타자로 인한 연타나 조합타가 발생하고 연결되는 자음이 ,,,,,일 때에는 을 중지로 친다.

② ㅎ(c)을 타자할 때도 검지를 사용한다. 의 검지 타자로 인한 연타나 조합타가 발생하고 연결되는 자음이 ,,,,일 때에는 을 중지로 친다.

③ ㅌ(x)을 타자할 때는 약지를 사용한다. 의 약지 타자로 인한 연타나 조합타가 발생하면 을 중지로 친다.

④ ㅂ(z)을 타자할 때는 소지를 사용한다. 의 소지 타자로 인한 연타나 조합타가 발생하면을 약지로 친다.

 

민두벌식 자판에서는 연타나 조합타를 그대로 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경우도 꽤 있다. 한글 언어의 특징과 자판의 특성 상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민두벌식 연타의 20%, 조합타의 26% 정도가 그렇다. 나머지는 연타나 조합타의 이동 거리가 길거나 손가락의 이동 방향이 맞지 않아 손가락 사용 변통을 통하여 연타나 조합타를 제거하면 굉장한 효과가 나는 경우이다. 위의 4가지 원칙에서 사실은 번 항만 손에 익어도 처리 가능한 연타의 73%, 조합타의 82% 정도를 해결할 수 있다. 나머지 원칙은 사족에 불과하고 무시해도 상관이 없을 정도다.

 

처음 타자를 익할 때 위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꾸준하게 연습하면 손에 익게 되고 손에 익은 후에는 의식하지 않아도 손이 알아서 반사적으로 타자를 치기 때문에 아무 문제가 없다. 위의 번 항목만 익히는 데에도 어느 정도의 노력이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충분히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 자판을 익힐 때 신경을 써서 연습하면 금방 손에 익게 된다.


Posted by 工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