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 새로 개발된 민두벌식 자판의 설계상 주요 자모 배치의 특징들을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일목요연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번호를 매겨서 정리를 해보자.
그림. 민두빌식 자판의 자음과 모음의 배치도
① 자음 키는 14개의 자음과 ㅆ을 포함하여 15개를 왼손 쪽에 배치하였다. 모음 키(ㅏ,ㅓ,ㅗ,ㅜ,ㅡ,ㅣ,ㅕ,ㅔ,ㅐ,ㅢ,ㅘ,ㅚ)는 12개를 오른손 쪽에 배치하였다. ㅢ,ㅘ,ㅚ의 키 배치는 빈도수를 고려한 결정이었다.
② 된소리 ㄸ,ㄲ,ㅉ,ㅃ은 두 개의 자음 키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하여 효율성을 꾀하였다. 가능한 한 직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ㄷ,ㄱ,ㅈ,ㅂ키는 반드시 사용하면서 조합 매개 키로는 ㄸ,ㄲ,ㅉ의 경우 ㄴ키를, ㅃ의 경우는 ㄷ키를 사용하여 손가락의 조합 효율을 최대한 끌어 올렸다. 단지, ㄲ의 타자 효율을 더 올리기 위하여 직관성을 무시한 손가락 조합 효율성만을 따진 ㄷ+ㅇ→ㄲ의 출력 조합을 추가로 두었다. 두벌식의 특성 상 받침 없는 음절 다음에는 왼손의 키 조합 방법을 쓸 수가 없으므로 이때에는 오른손 쪽 모음 키를 입력 수단으로 쓰게 하였다. 즉, 받침 없는 음절 다음에 모음 키 h,j,n,u키를 누르면 초성 된소리 ㄲ,ㄸ,ㅉ,ㅃ가 출력된다. 키 조합을 이용하여 된소리를 입력하게 되면 윗글쇠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가장 효율적으로 타자를 칠 수가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오른손의 된소리 키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입력의 일관성이 없어 글자를 보자마자 반사적으로 입력이 가능하게 되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③ 된소리 ㄸ,ㄲ,ㅉ,ㅃ 입력에서 왼손 자음 키의 조합을 사용하지 않고 윗글쇠+ㄷ,ㄱ,ㅈ,ㅂ을 사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게 하였다. 입력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 간단하고 쉽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윗글쇠 사용으로 인한 손가락 피로 증가의 문제가 남는다.
④ 받침 빈도가 높은 ㅆ은 q키에 배정하여 자판의 효율성을 높였다.
⑤ 모음에서 ㅛ,ㅑ,ㅠ,ㅖ,ㅒ,ㅙ,ㅝ,ㅟ,ㅞ,ㆍ는 모음 키 조합으로 출력한다. 모음 키 조합에서는 최대한 직관성을 고려하였지만 직관성보다는 효율성을 더 우선시 하였다. 발음 법칙에 따라 ㅣ를 매개 모음으로 하여 ㅣ+ㅗ→ㅛ,ㅏ+ㅣ(ㅣ+ㅏ)→ㅑ,ㅣ+ㅡ(ㅣ+ㅜ)→ㅠ를 조합하였다. 직관적인 형태 조합으로는 ㅜ를 매개 모음으로 하여 ㅜ+ㅓ→ㅝ,ㅜ+ㅣ→ㅟ, ㅜ+ㅔ→ㅞ를, ㅐ,ㅕ를 매개 모음으로 하여 ㅐ+ㅗ→ㅙ,ㅐ+ㅡ→ㅒ,ㅕ+ㅣ→ㅖ를 조합하여 복모음을 출력하게 하였다. 손가락 조합의 입력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ㅛ의 경우에는 ㅏ+ㅡ, ㅞ의 경우에는 ㅜ+ㅡ의 조합을 추가로 두었다. 아래ㆍ는 ㅏ+ㅓ의 손가락 조합을 사용하여 출력한다.
⑥ 초성 빈도가 높은 자음을 왼손 검·중지 손가락에 집중 배치하고 받침 빈도가 높은 자음을 약·소지 손가락에 집중 배치하여 타자 시 음절 조합 리듬을 최대한으로 살렸다.
⑦ 자음과 모음의 배치에서 타법, 자·모음 빈도, 키 입력 수월성 순위 등을 고려한 최적 설계로 타자의 효율성을 최대한 끌어 올렸다. 또한 같은 손가락 연타나 조합타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음들을 묶어 각 손가락에 배당하였다. 이를 통하여 손가락이나 어깨의 피로를 가능한 한 줄였다.
⑧ 검지와 중지선의 경계인 r키와 c키에 검지 연타와 조합타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ㄱ과 ㅎ을 배치하였다. 이때 r키와 c키를 중지로 치게 되면 검지에서 발생하는 연타와 조합타를 거의 다 막을 수가 있기 때문에 이를 설계에 반영한 부분이다. 자모 배치 후의 r키와 c키의 타자에서 중·검지를 오갈 수 있는 타법 상의 유연성을 이용하면 두벌식에서 발생하는 연타와 조합타의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⑨ 겹받침은 해당 자음을 연속으로 입력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손가락 조합의 순서는 철저하게 타자의 리듬이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정하였다.
⑩ 특수 기호에서 쿼티 자판과 위치가 다른 부호는 ;가 유일하다. ;키에 모음 ㅢ를 배치하여 키 사용의 효율성을 꾀하였기 때문이다. 다행히 ;부호는 빈도수가 비교적 적고 ;키 바로 위의 위치인 p키의 윗글쇠에 배치하였다. 쿼티 자판과의 호환성은 거의 완벽하다고 할 수 있다.
⑪ 쿼티 자판의 키에 반영되어 있지 않고 한글 타자에서 많이 쓰이는 21개의 문장 부호나 기호(‘,’,“,”,·,…,「,」,『,』,〈,〉,《,》,○,⨉,→,°,※,△,□)들을 윗글쇠의 키에 반영하여 직접 입력이 가능하게 하였다.
'자판字板이야기 > 두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두벌식에서 연타와 조합타를 줄이기 위한 타법상의 검토 - 민두벌식 자판의 개발 10 (0) | 2017.08.11 |
---|---|
‘민두벌식’ 자판의 간단 사용법 - 민두벌식 자판의 개발 9 (0) | 2017.08.10 |
새로운 두벌식 자판, ‘민두벌식’ 자판의 등장 - 민두벌식 자판의 개발 7 (0) | 2017.08.08 |
두벌식에서 연타와 조합타를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 민두벌식 자판의 개발 6 (0) | 2017.08.07 |
두벌식에서 윗글쇠 사용을 어떻게 없앨 것인가 - 민두벌식 자판의 개발 5 (0) | 2017.08.05 |